아기 열 달 품으면서 출산 후 출생신고를 빨리해 주고 싶어서...ㅎ 출산 한 뒤 해야 할 일을 미리 정리해 두곤 했는데 실제로 출산한 뒤에 다시 해야 할 일들을 다시 점검해 보았다. 출산을 앞둔 막달에 미리 확인해 두면 좋을 듯! 1. 유축기 대여 신청 : 보건소 2. BCG 예방접종 예약: 보건소 or 소아과 3. 주민센터 출생신고 1) 출생신고(이름 한자 정하기) : 주민등록등본 발급 2) 양육수당&아동수당 신청 (수령할 통장 사본 제출) 3) 서울시 출산축하선물 신청 * 건강보험은 출생신고를 하면 부모의 피부양자로 자동 등재 됨. 4. 출산가정 전기요금 할인 신청 * 상세 내용 참고 [임산부 혜택] 18가지 정부 지원 임신/출산 복지 혜택 총정리 국민행복카드(구 고운맘카드), 보건소 엽산·철분제 지..
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는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이 공시된다. 지역별 산후조리원의 주소와 연락처, 일반실/ 특실에 따른 비용이 정리되어 있어산후조리원 선택시 참고할 수 있다. 출처: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2018년 5월 22일 등록.http://www.mohw.go.kr/react/jb/sjb030301ls.jsp?PAR_MENU_ID=03&MENU_ID=0321&page=1 산후조리원마다 비용이 천차만별인데 서울의 경우는 150만원부터 비싼 곳은 일반실도 960만원까지 달한다. 특실은 2,500만원 하는 곳도 있던데... 도대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길래 이렇게 비싼건지 궁금하다. 서울시 산후조리원 목록을 비싼 순으로 정렬 해 보았다. 역시 비싼 곳은 주로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해 있다. 가격이 높은 산후조리원..
정부에서는 국민에게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온라인에서 만날 수 있는 플랫폼이 '복지로' 이다. 생애주기에 따른 복지정책을 보면 임신/출산/육아(영유아, 아동, 청소년)관련 혜택을 볼 수 있다. 이 중에서도 대한민국에서 거주하는 여성이라면 가장 체감하는 혜택이 '임신/출산'일 것이다. 출산 후에는 영유아, 아동/청소년 등 육아를 하면서 생애주기에 따라 다양한 복지혜택을 접하게 된다. 올 해 7월부터 서울시 모든 출산가정에 지원되는 산후도우미 파견 서비스! 공식 명칭은 '산모신생아 건강관리' 이며 이 역시 '복지로'에서 신청이 가능하다. 2018년 7월부터 서울시 모든 출산가정에 산후도우미 파견 정부지원 사회서비스사업 중 하나인 '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'은 기존에는 산모 및 배우자의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졸리점퍼스탠드
- 재난지원금위임장
- 졸리
- 졸리점퍼구매
- 산후조리원비용
- jollyjumper
- 재난지원금이의신청
- 졸리점퍼
- 졸리점퍼가격
- 산후조리원
- 아기백일
- 점퍼루
- 신생아돌보기
- 긴급재난지원금
- 졸리점퍼슈퍼스탠드
- 재난지원금세대주
- 아기운동
- 재난지원금쿠팡
- 궁산후조리원
- 쏘서
- 서울산후조리원
- 졸리점퍼직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